dev
-
네트워크 문제 생겼을 때 tcpdump로 해결하기:dev/리눅스 환경설정 2025. 4. 9. 13:49
리눅스에서 tcpdump로 네트워크 트래픽을 캡처하고, 그 결과를 Wireshark로 분석하는 방법을 알려드릴게요.네트워크가 느려지거나 연결이 끊기고, "뭐가 문제지?"라는 생각이 들 때가 있죠?서버에서 웹사이트 접속이 안 된다거나, 앱이 이상하게 작동할 때, 혹은 보안 문제로 의심스러운 트래픽을 확인하고 싶을 때 tcpdump는 정말 유용한 도구예요.이런 상황에서 패킷을 직접 들여다보면 문제를 파악하거나 디버깅하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1. tcpdump 설치 확인tcpdump는 리눅스에서 네트워크 패킷을 캡처하는 도구로, 트래픽을 실시간으로 잡아서 어떤 데이터가 오가는지 볼 수 있어요.예를 들어, 서버에서 클라이언트로 응답이 늦거나 아예 안 가는 상황을 확인할 때 딱이에요.설치 여부를 확인하려면 터..
-
[VSCode] SSH 접속 및 ProxyJump 설정 방법 (두번 타고 들어가기)dev/개발일지 2025. 4. 3. 23:08
먼저 vscode 좌측 메뉴에 보이는 모니터 모양의 아이콘(원격 탐색기)을 클릭합니다. ssh 메뉴에 있는 세팅 버튼을 누르게 되면 SSH 구성 파일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ssh/config 파일을 선택해 줍니다. 이러한 형식으로 작성을 하면된다.Host 에 원하는 별명을 적어주고Tab을 이용하여 들여쓰기를 해준 뒤 HostHostName 에는 원하는 ip 를 입력해주시면 됩니다.그리고 User 에는 해당 서버로 접속할 유저명을 입력해주세요.Port 는 설정이 되어있다면 해당 포트로 입력하시고, 기본 포트로 설정이 되어있다면 22로 적어주시면 됩니다저장을 하시고 새로고침을 눌르면 입력한 내용이 반영되어있습니다. 여기 ProxyJump 는만약 접속하고자 하는 컴퓨터가 있는데이 컴퓨터가 외..
-
GitHub에 코드 업로드하기: (자주 발생하는 오류 포함)dev/리눅스 환경설정 2025. 4. 3. 17:25
1. GitHub에서 새 레포지토리 생성하기먼저 GitHub에서 코드를 저장할 공간(레포지토리)을 만들어야 합니다. 1. GitHub에 로그인: 브라우저에서 github.com에 접속해 로그인합니다.2. 새 레포지토리 생성:오른쪽 상단의 + 버튼을 클릭하고 New repository를 선택합니다.Repository name: 원하는 이름 입력 (예: my_project).Public/Private: 공개 여부 선택 (Public은 누구나 볼 수 있음, Private는 비공개).Initialize this repository with a README: 체크하지 않습니다 (로컬에서 직접 올릴 거라 필요 없음).Create repository 버튼 클릭!3. 레포지토리 URL 복사: 생성된 레포지토리 페이지에..
-
ubuntu ip 변경 후 인터넷 접속 안되는 경우dev/리눅스 환경설정 2025. 4. 1. 10:43
Ubuntu에서 IP와 네임서버(DNS) 설정하기: 시행착오와 해결법 1. 원하는 IP로 변경 시도: Netplan 설정처음에는 Ubuntu의 기본 네트워크 설정 파일인 `/etc/netplan/01-network-manager-all.yaml`을 수정해서 IP를 변경해보려고 했습니다. 기존에 다음과 같이 설정되어있는 파일을이 파일을 열고 다음과 같이 수정network: version: 2 ethernets: enp0s3: #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이름은 환경에 따라 다름 (ifconfig 명령어로 확인 할 수 있다) dhcp4: no addresses: - 192.168.1.100/24 # 원하는 IP와 서브넷 마스크 gateway4: 192.168.1..
-
코랩 무한으로 사용하기dev/colab 2023. 6. 16. 13:40
코랩을 사용하다 런타임 해제로 인해 지친 나는 계속해서 다른 방법을 시도해 봤다. 일단 여태까지 알아본 방법 중 가장 좋은 방법을 소개한다. 굳이 과금을 해서 코랩 플러스나 프로 플러스로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아도 된다. 프로 플러스를 사용하더라도 어차피 리소스 제한은 존재한다. 백그라운드에서 실행해야 하는 경우는 어쩔 수 없이 프로 플러스를 사용해야 된다. 그리고 더 빠른 GPU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도 프로 이상을 사용해야 된다. 그럼 몇날 며칠을 계속 실행하는 방법은 일단 구글 계정을 최소 3개를 준비한다. 그리고 데이터가 많이 필요한 경우라도 한 계정의 드라이브만 100기가 이상으로 준비하면 된다. 한 계정에서 코랩 실행이 잘 이루어진다면, 사용된 파일을 전부 다른 계정에도 공유를 한다. 공유를 ..
-
코랩 프로 플러스 - 활용 및 후기dev/colab 2023. 6. 15. 10:27
런타임 유지를 위해 코랩 프로를 사용하다가 이것 또한 런타임 문제가 있어서 50달러 지불하고 코랩프로 플러스로 갈아탔지만 이것도 하루에 12시간 넘게 계속 돌리면 문제가 생긴다. 해결 방법은 한 시간에 한 번씩 시도해 보는 수밖에 없는 듯하다... 구글 코랩은 딥러닝이나 머신러닝 같은 계산 집약적인 작업을 클라우드 기반의 고사양 환경에서 손쉽게 진행할 수 있게 해주는 뛰어난 도구입니다. 그러나 무료 버전의 런타임 제약으로 인해 고민이 된다면, 코랩 프로 혹은 코랩 프로 플러스의 사용을 고려해 보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코랩 프로를 사용하더라도 12시간을 넘어서 작업을 계속하려고 하면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는 한 시간에 한 번씩 시도해 보는 것이 해결책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컴퓨..
-
VirtualBox에서 Ubuntu 설치 중 "Kernel Panic - Not Syncing: Fatal Exception in Interrupt" 오류 해결기dev/colab 2023. 3. 27. 15:06
VirtualBox에 Ubuntu 서버를 설치하려고 했는데, 계속해서 부팅 중에 오류가 터졌어요.화면에 "Kernel Panic - Not Syncing: Fatal Exception in Interrupt"라는 메시지가 뜨면서 진행이 멈추더라고요.처음엔 당황했지만, 좀 파헤쳐보니 이 문제는 가상 머신에서 Ubuntu를 돌릴 때자주 만나는 이슈 중 하나라는 걸 알게 됐습니다. 문제의 원인?보통 이런 오류는 가상 머신 설정이나 드라이버 충돌, 혹은 호스트와 게스트 시스템 간의 호환성 문제 때문에 생긴다고 해요. 부팅 도중에 뭔가 꼬여서 시스템이 더 이상 진행을 못하고 멈춰버리는 거죠. 저도 처음엔 어디서부터 손대야 할지 막막했어요. 해결해본 방법들몇 가지 방법을 시도하면서 삽질 좀 했는데, 그 과정을 정리..